60세 이상 지원금 및 혜택의 모든 것

기초연금

놓치면 1년에 수백만 원이 증발합니다. 선정기준액만 충족하면 국가가 평생 월 지급을 보장합니다.

  • 대상: 만 65세 이상, 소득인정액이 2025년 선정기준액 이하면 수급 가능(단독 228만 원, 부부 364만 8천 원)
  • 금액: 개인별 소득·재산에 따라 산정(매년 고시)
  • 신청: 주민센터, 국민연금공단, 복지로
  • 팁: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, 소득·재산 변동 시 재조정
기초연금 신청하기


노인일자리 활동비

일한 만큼 현금이 찍힙니다. 공익활동만 해도 월 최대 29만 원. 모집 시기를 놓치면 1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  • 대상: 만 65세 이상(유형별 상이). 지자체 상황에 따라 60~64세 일부 선발 가능
  • 지급: 공익활동형 기준 월 29만 원 이내(활동시간 반영·시간당 6.5천 원 등 세부 산정 규칙)
  • 모집/신청: 지자체·노인복지관·한국노인인력개발원 공고, 매년 말~초 집중 접수
  • 유의: 유형(시장형·사회서비스형 등)에 따라 임금·근로조건 상이, 중복참여 제한
노인일자리 활동비 신청하기


에너지바우처

여름·겨울 합쳐 최대 70만 원대까지 에너지요금이 줄어듭니다. 신청만 늦어도 한 해 지원액을 통째로 놓칩니다.

  • 대상: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 등 취약가구의 노인 가구
  • 2025년 지원총액(가구별): 1인 295,200원 / 2인 407,500원 / 3인 532,700원 / 4인+ 701,300원(사용기간 2025.7.1~2026.5.25, 총액 기준)
  • 신청/기간: 2025.6.9~12.31(연도 공지 확인)·주민센터·에너지바우처 홈페이지
  • 유의: 다른 동절기 지원(연탄쿠폰·긴급복지 연료비) 선택 시 금액·사용기간이 달라짐
에너지바우처 신청하기


긴급복지 생계·의료·주거 지원

소득이 끊기면 현금 생계비로 버팁니다. 하루 지체가 한 달 생계를 흔듭니다. 증빙만 갖추면 신속 지원이 원칙입니다.

  • 내용: 생계비(현금)·의료비·주거비 등 위기 가구에 단기 집중 지원
  • 기준: 중위소득·재산·금융재산 등 지침상 요건 충족 필요(가구 규모별 기준)
  • 신청: 보건복지상담센터 129, 주민센터, 정부24
  • 유의: 지급액·기간은 연도 지침에 따라 조정, 동일 사유 중복 지원 제한
긴급복지 지원제도 신청하기


통신요금 감면

매달 최대 1.1만 원 휴대폰 요금이 줄어듭니다. 신청 안 하면 평생 통신비만 새어나갑니다.

  • 대상: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의 이동전화
  • 내용: 월 청구 이용료 최대 11,000원 감면(통신사 약관·요금제에 따라 변동)
  • 신청: 통신3사 고객센터(114)·대리점·복지로·주민센터
  • 유의: 유선전화 감면은 별도 기준, 타 감면과 중복 시 한도 내 적용

통신요금감면 신청하기